죽기 살기 산에 가기

[스크랩] 알아두면 좋은등산 용어들

불고옹 2010. 4. 14. 10:28

알아두면 좋은 등산 용어들~~

가스(gas) : 안개


걸리(gully): 산의 사면이 패어 들어 험하고 가파르게 드리워진 곳.

             주로 돌이나 낙석, 눈사태 등의 통로가 되며 불어의 꿀르와르(Couloir)

             독어의 린네(Rinne)와 비슷한 지형


격시등반 : 등반시 안전을 위해 한 사람씩 차례로 오르는 방식.


고산병 : 높은 산에서 기압의 저하로 일어나는 병. 두통, 구토 등의 증세가 나타남.

 
고소순응 : 고도의 증가에 따른 기압이나 산소분압 저하에 대하여 인간의

           생리나 육체기능이 적응해 나가는것


고글(goggle) : 동계등산이나 고산등반시 눈을 보호하기 위해 쓰는 안경.

 
그레이드(grade) : 등반루트의 상태와 곤란에 따라 등급을 정한 것.


극지법 : 히말라야처럼 규모가 큰 산에서 안전하고 확실하게 등반하기위해

         차례로 캠프를 설치 물자를 인양하고,루트공작을 되풀이하여 최종

         적지에 도달하는 방법


글리세이드(glissade) : 눈사면을 등산화 바닥으로 속도 조절하면서

         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. 스탠딩(서서 미끄럼),

          크라우칭(쪼그려 앉기),시팅(엉덩이)글리세이드가 있다.


너덜 : 산에서 돌이 많이 흩어져 덮인 비탈.


니쉬(niche) : 암벽 가운데 움푹 들어간 곳


눈처마 : 설릉의 능선상에 또는 벼랑끝에 처마처럼 얼어붙어 매달려

         있거나 튀어나온 설층


데포 : 등반시 장비나 식량 등을 보관하는 것 또는 보관하는 장소.

 
다운 클라이밍 : 클라이밍 다운 (climbing down)이라고도 함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로프의 이용 없이 등반자세로 역으로 내려가는 행위를 말 함.


닥터링(doctoring) : 자연적인 홀드가 없는 경우 바위의 면을 깎아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홀드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.


돌비알 : 깍아세운 듯한 돌의 언덕 ]


디렛티시마(direttissima) : 직등


디에드르 : 암벽이 책을 펴서 세워 놓은 형상을 하고 있는 부위로

           펼쳐진 각이 90도 전후.


러쎌(russel) : 제설차를 고안한 미국인 이름이지만 현재는 눈을

              헤치고 전진한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음.


레드 포인트(red point) : 하드프리 용어. 한 번의 추락 없이

              자유등반으로 리드한 경우.


레이백(lay back) : 크랙이나 플레어형 암장에서 바위모서리는 손으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끌어당기고 발로는 벽을 차며 등반하는 자세.


레지(ledge) : 암벽에서 테라스 보다는 좁은, 두발을 딛고 서서

             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암붕


루트파인딩(route finding) :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것

 
루프(roof) : 오버행, 천장


리스 : 암벽의 갈리진 틈새, 영어의 크랙(crack)과 같은 뜻.


리지(ridge) : 불어의 아레뜨, 독일의 그라트와 같은 말로 산등성이를

              뜻하나 대개 바위능선(암릉)을 말한다.


링반데룽(ring wanderung) : 어둡거나 가스 또는 눈으로 시야가 상실되어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동일한 장소에서 원을 그리며 방황하는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것을 말한다. 일명 환상방황이라고도 한다.

 
머메리즘(mummerism) : 영국의 등산가 A.F.머메리가 제창한 등산사상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등정이 목적이기보다는 등정에 이르는 과정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곤란을 극복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등산방식


모레인(moraine) : 빙하에 밀려서 퇴적된 암석이나 토사를 말한다.

 
몬순(monsoon) : 인도지방에서 북상하는 계절풍을 이르는 말

              . 히말라야 등산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. 보통 몬순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년 2회, 여름은 6월-9월로 무더우며 장마기간이며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겨울은 11월-2월로서 건조기이다


믹스 클라이밍(mixed climbing) : 바위나 설벽,빙벽등을 혼합해서 오르는 등반 방식


반트(wand) : 거대한 벽을 뜻하는 말.독일어


백패킹(back packing) : 산정의 곤란이나 고도를 추구하는 등산과 달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자연과 인간과의 융화를 추구하여 산야를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방랑 하고 자연에서 배우는 목적으로 함.


밴드(band) : 암벽을 가로지르고 있는 선반처럼 생긴 바위.

 
버티컬(vertical) : 수직이라는 뜻이나 등산에서는 수직벽을 뜻하기도 한다.


버트레스(buttress) : 산정을 지지해 주는 것처럼 산정이나 능선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향해서 치닫고 있는 암릉을 지지해 주는 벽을 말함.


베이스 캠프(base camp) : 등산의 기점을 삼는 곳.


보울더링(bouldering) : 큰 바위를 로프없이 등산화와 초크만을 사용해서 오르는 행위.

 
볼트(bolt) : 암벽의 구멍을 파고 박는 하켄.


봉봉(bongbong) : 하켄


블리자드(blizzard) : 내려쌓인 눈이 강풍에 날려 일어나는 눈보라.


비박(bivouac) : 천막이나 산장을 이용하지 않는 노영을 뜻하며 등산자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편의상 택하는 경우도 있지만, 외부적 여건에 의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불시 노영을 뜨산다.

 
비상식 : 악천후나 조난등의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준비하는 식량.


빅월 클라이밍(big wall climbing) : 거대한 암벽을 등반하는 것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보통1,000m급의 암장을 말함.


빌더링(buildering) : 빌딩벽을 오르는 것.

 
빌레이(belay) : 확보


사다(sirdar) : 히말라야 등산에서 셰르파의 우두머리.

 
사이트(site) : 야영지, 노영지를 말함. 캠프사이트...

 
서바이벌(survival) : 인간이 자연 속으로 들어가 자연과 융합하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자연의 모든 조건하에서 살아남는 것을 말한다.


서포트(support) : 등산에서 맴버나 파티를 위하여 짐을 인양하는등,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지원하는 것을 말함.


선등자 : 빙, 암벽 등반에서 일행 중 맨처음 오르는 자를 말한다.

 
설계(雪溪) : 계곡을 메우고 있는 눈으로 봄과 여름이 되어도

             녹지 않고 남아있는 눈을 말한다.


설동(雪洞) : 노녕 또는 데포를 위해 눈을 파서 만든 눈구멍 또는 눈굴을 이르는 말.

 
설맹(雪盲) : 눈 표면에서 반사된 자외선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

            염증. 심하면 앞을 볼 수가 없다.


설선(雪線) : 일년내내 눈이 낼 쌓여서 없어지지 않는 고도의 하한선을 말함.


설연(雪煙) : 연기처럼 바람에 흩날리는 눈.


설원(雪原) : 넓게 펼쳐진 만년설 지대.


설피 : 눈 위에서 빠지지 않고 걷기위해 등산화에 덧붙여 신는 도구.


세락(serac) : 빙하의 붕괴로 빙하상에 생기는 얼음탑.

 
셰르파(sherpa) : 히말라야 등산에 있어서 산 안내인을 이렇게 부르지만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원래는 티베트족 계열의 고산족 명칭이다.


숄더(shoulder) : 산정 부근의 평탄한 지점.


스미어링(smearing) : 마찰을 최대한 이용하기위해 등산화의 바닥을 문지르는 기술.


스탠스(stance) : 암벽등반시 발디딤이 되는 곳으로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설 수 있는 크기의 발디딤자리.


스탭커팅(step cutting) : 빙벽이나 설벽을 오를 때 피켈등으로 스텝을 깍아 만드는것.


스패츠(spats) : 눈이나 흙이 등산화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각반.

 
스퍼(spur) : 급사면의 돌출부나 측릉.


슬랩(slab) : 비교적 홀드나 스탠스가 적고 60° 이내로 경사진 넓은 바위면.


슬립(slip) :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.

 
슬링(sling) : 단면이 원형 또는 띠 모양의 나일론으로 된 끈으로서

              등반시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.


아노락(anorak) : 에스키모들이 사용하는 두건달린 짧은 외투나 그와 비슷한

               웃옷을 말함, 원래는 방풍용이지만 방수, 방한용으로도 사용.


아웃도어(outdoor) : 야외행위 또는 야외생활.


아이스 폴(ice fall) : 빙하지대와 나타나는 크레바스의 밀집지대나 급사면을 말한다.


아이스 바일(eisbeil) : 빙벽 등반시 쓰이는, 피켈의 블레이드 즉 뒷날 부분이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해머모양으로 되어있는 등반도구


아이스 스크류(ice screw) : 아이스 하켄


아이스 액스(ice axe) : 피켈


아이스 월(ice wall) : 빙벽

 
아이스 폴(ice fall) : 빙하지대에 나타나는 크레바스의 밀집 지대나 급사면.

 
아이젠(eisen) : 슈타이크아이젠의 약칭. 빙설사면의 등하강시 미끄러지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않도록 등산화 바닥에 착용하는 발톱 달린 금속물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발톱수와 구조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.


안자일렌(anseilen) : 함께 등반하는 일행끼리 자일로 서로 연결하여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상호간에 확보와 안전을 꾀하는 것.


알파인 스타일(alpine style) : 7000-8000m급의 고봉, 특히 히말라야와 같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산군에서 기상조건도 냉혹하고 기나긴 등고 거리를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갖는 산을 필요한 장비와 식량을 모두 짊어지고 일거에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정상을 향하여 오르는 방법. 극지법과 반대되는 등산행위

 
알피니즘(alpinism) : 근대 등산의 사상이자 근대 등산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. 


압자일렌(abseilen) : 현수 하강


어프로치(approach) : 등반 출발점까지 가는(접근하는) 것.


에징(edging) : 암벽 등반에서 미세한 홀드나 돌기등을 등반화의 가장자리로 딛는 것.

 
연속등반 : 암벽 등반시 신속한 등반을 위해서 파티 전원이 확보를 하거나,

           받는일 없이 동시에 안자일렌으로 등반하는 것.


연장등반 : 한 암벽에 나 있는 여러 루트를 오르내리며 연속으로 등반하는 것.


예티(yeti) : 히말라야 깊은 산중에 산다는 정체 불명의 눈사람. 목격담이나

              발자국 흔적에 대한 것이 얘기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존재를

              확증할 만한 증거는 없다.


오리엔테어링(orienteering) :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하여 제정된 형식과 방법에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의해 산야에 설정한 몇 개의 지점을 거쳐 골인하는 경기.

 
오버슈즈(over shoes) : 방수용 덧신의 하나로 동상 예방을 위하여 등산화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위에 착용하여 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한구.


오버행 : 암벽이 90°이상의 경사로 위에서 덮어 누르듯 된 상태.

 


오포지션(opposition) : 등반에 있어서 손이나 발의 힘을 서로 반대방향으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가하여 몸의 자세를 유지하는 방법.


온 사이트(on sight) : 암벽 등반에서 아무런 사전 정보나 지식없이 한 번에

             자신이 확보물을 설치하며 떨어지지 않고 자유등반으로 오르는 것.


우모복 : 오리과의 새털로 공기층을 두텁게 하여 보온 효과를 높인 방한복


유마르(jumar) : 등강기


인공등반(artificial climbing) : 하켄이나 볼트등 인공적 기구의 보조로(이용하여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등반하는 것


자유등반(free climbing) : 인공등반의 반대되는 말로 하켄이나 볼트등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단지 확보용으로만 사용할 뿐,이용하지 않고 순수히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자신의 몸(기술)으로만 등반하는 것.


자일 : 등반시 일행의 확보와 현수하강 등에 쓰이는 등산용 밧줄.


자일샤프트 : 한 자일에 같이 결합된 등반자 일동.

 
장다름(gendarme) : 주봉 가까이 있고 주봉을 호위하듯 솟아 있는 암봉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전위봉(前衛峰) 중에서도 특히 험준하게 깍아지른 암봉.

 
잼밍(jamming) : 갈라진 바위틈에 신체의 일부를 끼워넣어 홀드로

             하는 동작. hand jam, foot jam, head jam, finger jam등이 있다.


젤트색(zeltsack) : 비박시 사용되는 소형 경량의 간단한 텐트.


주마링(jumaring) : 주마를 사용하여 고정로프를 오르는 것.

 
직등 : 목표지점을 향하여 직선으로 오르는 것. 보통 암벽등반시 오를 수 있는

       곳을 찾아 연결하여 올랐으나 보다 높은 난이도를 추구하기

        위해 정상까지 일직선으로 오르는 것.


청빙(靑氷) : 얼음의 질이 치밀해 바닷물처럼 푸르게 보이는 상태의 얼음.


초크(chalk) : 바위를 오를 때 손이나 등반화의 앞부분에 슬립 방지용으로 바르는 분가루.

 
촉스톤(chockstone) : 크랙이나 침니등 바위틈 사이에 끼어있는 돌 쐐기.


침니(chimney) : 암벽에서 세로 방향의 굴뚝 모양으로 생긴, 몸이 들어갈 수 있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정도의 넓이를 가진 바위 틈.


카라반(caravan) : 등반에서 본격적인 등반을 위해 그 기점이 되는 베이스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캠프까지 등반용 물자를 운반하면서 전진하는 행위.


카라비너 : 하켄, 너트 등과 로프를 연결 할 때 중개물로 쓰이는 금속제 쇠고리

          모양의 용구. 한쪽 면은 스프링 장치로 개폐가 용이하게 되어 있으며

           여러 형태의 것이 생산되고 있다.


칸테(kante) : 암벽에 형성된 크게 튀어나온 바위 모서리

 
캠프 사이트(camp site) : 캠핑(야영) 장소

 
커니스(cornice) : 눈처마, 설릉의 능선상에 또는 벼랑 끝에 매달려 있거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튀어나온 눈층을 말한다.

 


컴퍼스(compass) : 나침반


케언 : 산이나 등산로 등에 등산기념이나 길표시로 돌을 쌓아 놓은 것.


코퍼 헤드(copper head) : 미세한 크랙이나 바위구멍,틈 사이 등에 해머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때려박아지지력을 얻는 등반 기구.와이어에 동(銅)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주체로한 합금이 달려있어 때려 박으면 연한 동(銅)이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바위결에 먹혀 지지력을 얻게 됨.


콜(col) : 산정과 산정사이 능선상의 움푹 들어간 곳.

          새들(saddle), 잣텔(sattel)


크랙(crack) : 바위의 갈라진 틈새를 말한다. 독어의 리스와 같은 뜻이다.


크러스트(crust) : 눈 표면이 바람이나 태양광선의 영향으로 단단하게 얼어붙은 상태.


크럭스(crux) : 암벽 등반에서 그 루트의 가장 어려운 부분.

 
크레바스(crevasses) : 빙하 위에 갈라진 균열.


클라이밍 다운(climbing down) : 암벽을 로프등 보조기구 없이 손과 발을 이용 내려오는 것.

 
킥 스텝(kick step) : 눈비탈을 오를 때 등산화로 눈을 차면서 발디딤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만들어 오르는 기술.


테라스(terrace) : 암벽이나 암릉에서 선반처럼 튀어나온 비교적 넓은 곳.


트레버스(traverse) : 빙벽, 암벽 등을 옆으로 가로지르거나 비스듬히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가로 지르는 행위를 말한다.


트레일(trail) : 좁은 등산로. 희미한 산길


트레킹(trekking) : 산록일대의 등산로를 따라 이산 저산으로 여행한다는

              말이지만 주로 히말라야의 산록을 오르내리는 여행을 말한다.


티롤리안 브리지(tyrolean bridge) : 협곡, 격류, 크레바스등을 건널 때 이용되는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등산 기술. 협곡 양쪽에 팽팽히 걸쳐있는 로프에 매달리거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업드려 밸런스를 유지하며 건너가는 것


펌핑 아웃(pumping out) : 등반시 팔의 힘을 모두 사용 더 이상 힘을 쓸 수 없는 상태.

 
펜듀럼(pendulum) : 로프에 매달려 시계의 진자(振子)처럼 몸을 흔들며 옆으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이동하는 기술.


포타레지(portaledge) : 요세미테와 같은 거벽 등반시 이용되는 이동용 간이 침대.


포터(porter) : 카라반시 짐을 운반하는 사람.


프렌드(friends) : 캠의 원리를 이용하여 크랙등에 집어넣어 확보하는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등반용 확보 보조기구.


프런트 포인팅(front pointing) : 빙벽 등반시 아이젠의 앞 발톱으로 얼음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차서 몸을 지지하며 오르는 빙벽 등반 기술.


프리 솔로(free solo) : 암벽에서 단독 자유등반. 요즘은 로프등 등반기구없이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오르는 단독등반을 뜻함.


피나클(pinacle) : 암릉이나 암벽의 돌기부분. 뾰죽한 침봉.

 
피치(pitch) : 암,빙벽 등반에서 확보지점에서 다음 확보지점까지를 의미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마디라고도 함.


피톤(piton) : 하켄


픽켈(pickel) : 원래는 아이스펙켈로 눈, 얼음 위에서 사용하는 괭이, 도끼,

              지팡이의 세가지 기능을 갖춘 장비.


필라(pillar) : 기둥을 의미하는 말로 등반에서는 정상으로 치닫는 암주,암릉을 일컷음.

 
하네스(harness) : 안전벨트


하드프리(hard free) : 난이도가 높은 프리클라이밍. 보통 5.12급이상을 말함.


하이포서미아(hypothermia) : 체온저하 또는 절감을 뜻하며 등산시 건강상태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나쁘거나 눈, 비, 바람 등에 의해 차츰 체온이 저하되어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생명까지 위험하게 되는 상태.


하켄(haken) : 암벽의 틈을 박아 전진용, 확보용으로 사용하는 금속제의 장비. 일종의 못.

 
해먹(hammock) : 나일론제의 가느다란 끈을 망상으로 엮어 놓은 것으로

양쪽

    끝을 달아매서 쓰는 그물 침상


행동식 : 등산 행동중 먹는 식량. 겨울산이나 암벽등반등 시간과 효율이

         요구되는 경우 간단히 먹을 수 있도록 준비한 식량.

        고칼로리로 소화가 잘되는 것으로 준비.


현수하강 : 자일 하강을 뜻함.


홀드(hold) : 암벽등반에 있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곳이나, 발로 디딜 수 있는 곳.

 
홀링(hauling) : 거벽 등반시 필요한 용구 및 식량등을 자루에 담아 도르레와

       등고기를 이용 인양하는 것.


화이트 아웃(white out) : 시야상실, 산 위의 눈 표면에 가스가 덮여 원근감이

       없어지는 상태. 백시라고도 한다.


확보 : 등반시 로프를 연결한 한쪽 사람이 다른 사람이 추락할 때를 대비하여

     하는 로프 조작 기술.


훼이스(face) : 넓은 의미로는 등반의 대상이 되는 산의 한 면으로

              암벽 전체를 이르는 말이며 좁은 의미로는 암벽에서 널찍한

    급사면의 부분을 말한다.

출처 : 하눌타리
글쓴이 : 선이언니 원글보기
메모 :

'죽기 살기 산에 가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불암산-탱이들의 바위타기  (0) 2010.04.26
덕룡산 바위타기  (0) 2010.04.15
[스크랩] 전국 산행 지도  (0) 2010.04.04
탱이산악회의 봄산행  (0) 2010.03.30
달마산 - 네발로 기어가는  (0) 2010.03.18